가족 간 상속 다툼, 법원의 판단을 받다 – 상속재산분할심판청구 사례
본문
“가족 간 상속 다툼, 법원의 판단을 받다” – 상속재산분할심판청구 사례
□ 문의
부친이 유언 없이 갑작스럽게 사망한 뒤,남겨진 재산을 두고 형제들 간 의견 차이가 심해졌습니다. 상속인 간 협의가 계속 결렬되자,
“이대로는 해결이 안 된다”며 법원에 상속재산분할심판청구를 하고 싶다는 의뢰를 받았습니다.
□ 사건 개요
의뢰인은 3남매 중 장녀로, 부친 사망 이후 모친과 형제들과 함께 법정상속인으로 상속 절차를 진행하던 중
동생이 일부 재산을 자신 명의로 단독 등기하고 다른 형제들과의 협의를 거부하면서 갈등이 발생했습니다.
특히 부동산, 예금, 채무 등 다양한 형태의 재산이 있었고,생전에 특정 자녀에게 증여된 금액도 포함되어 있어
단순한 협의로는 분할이 불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일상의 변호사’는 상속재산분할심판청구서를 작성해 가정법원에 제출하고 법원의 판단을 받아 공정한 분할을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 진행 경과 1. 상속인 조사 및 상속재산 목록 정리 가족관계증명서, 제적등본 확보 부동산, 금융자산, 자동차, 채무 등 목록화 생전 증여 내역 및 편법 상속 여부 확인 2. 협의 불성립 증빙 및 심판청구 진행 여러 차례 협의 요청 내용 및 거절 사유 정리 조정절차 없이 법원의 직접 심판을 선택 3. 심문기일 및 감정, 평가절차 진행 부동산 감정 평가 신청 각 상속인의 기여도·기타 사정 종합 고려 요청 |
□ 결과
법원은 상속인의 수, 생전 증여금, 각자 재산의 사용 내역, 기여도 등을 감안하여 정확한 분할 비율을 결정하였고 의뢰인은 단독으로 사용되던 부동산 일부 지분과금융자산 일부를 상속받는 공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상속재산분할은 협의가 우선이지만, 협의가 어렵거나 감정이 격해진 경우 법원의 심판 절차가 유일한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사전 증여, 기여분, 채무 분담 등 다양한 요소가 얽혀 있다면 법리적 해석과 자료 정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일상의 변호사’는 감정에서 벗어나 이성적으로 상속을 정리할 수 있도록 법적 절차의 전 과정을 철저히 안내하고 있습니다.
※ 이 글은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하되, 일부 인물과 사실관계는 각색되었음을 밝힙니다. 사건의 결론과 법리적 구조는 실제 결정문과 판결문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