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ccess Case업무수행사례

업무수행사례

중고사기 오토바이 주행거리 조작, 손해배상 사례

업무수행사례 25-07-01

본문

<오토바이 주행거리 조작, 손해배상 청구 사례>

e99a9c26e7674a0b4aad611ff55941b9_1751359547_3529.png
 

□ 문의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을 통해 오토바이를 구매했는데 판매자가 “실주행거리 2,000km, 사고 이력 없음”이라고 강조했지만, 정비소에 입고해보니 실제 주행거리는 2만km 이상, 주요 부품도 마모된 상태였습니다. 판매자에게 항의하자 “구매자가 확인 안 한 거 아니냐”며 책임을 부인하였는데, 이런 경우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 문의 주셨습니다.


□ 사건 개요

의뢰인은 SNS 기반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A씨로부터 오토바이를 구매했습니다. 계약 당시 판매자는 차량등록증, 사진, 간단한 점검표를 보내며 “정상 차량”이라 설명하여별다른 의심 없이 거래를 완료했습니다.


하지만 수일 내로 엔진 경고등이 들어오고, 정비소 점검 결과 주행거리 조작 흔적 / 타이어·체인·브레이크 패드 모두 노후/ 프레임 일부분 용접 흔적 확인 등 / 사고 차량이거나 고의적 조작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을 받았습니다.



이에 ‘일상의 변호사’는 계약 해제 및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진행했습니다.


 

□ 진행 경과

1. 계약 내용 및 조작 정황 증거 확보


중고 플랫폼 메시지, 문자, 통화 녹음


오토바이 사진 및 판매 설명 캡처


정비소 진단서 및 이전 주행거리 정황자료



2. 내용증명 발송 → 민사소송 제기


판매자에게 계약 해제 및 환불 요구


응답 없음 → 손해배상 청구 소송 제기



3. 법원 재판 진행


피고 “주행거리 조작 몰랐다” 주장


판사, 판매 당시 설명과 진단기록 불일치 확인




□ 결과

법원은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한 설명의 허위가 있었고, 의뢰인이 이를 신뢰하고 거래한 점을 인정하여 구매대금 전액 및 정비 비용, 운반비 등 손해배상 판결을 내렸습니다.


□ 변호사 의견

중고거래에서는 허위 설명이나 침묵을 통한 기망 행위가 있을 경우 민법상 사기 또는 착오에 의한 계약 취소·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특히 차량이나 오토바이 등 고가 물품일수록 진단서, 대화 기록, 판매 페이지 캡처 등 증거를 잘 보존해야 하고, 전문기관의 감정서가 큰 도움이 됩니다.


‘일상의 변호사’는 피해 회복뿐 아니라유사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한 법적 대응 전략도 함께 설계해드립니다.


※ 이 글은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하되, 일부 인물과 사실관계는 각색되었음을 밝힙니다. 사건의 결론과 법리적 구조는 실제 결정문과 판결문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담당변호사

상담문의

X

개인정보처리방침

법무법인 일로(이하 “사무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된 정보주체의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제 1 조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목적, 방법
제 2 조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제 3 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제 4 조 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제 5 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제 6 조 개인정보의 파기
제 7 조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제 8 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제 9 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제 1 조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목적, 방법)
① 게시판 글 작성 시 필수 항목에 대한 수집목적은 ‘별도의 구체적 상담을 위하여’이며 수집항목은 ‘이름, 이메일, 연락처’입니다.
② 전항 외에 고객의 서비스 이용 과정이나 요청 사항 처리 과정에서 ‘IP주소, 접속로그, 단말기 및 환경정보, 서비스 이용기록, 쿠키’와 같은 정보들이 자동으로 수집 및 저장될 수 있으며, 이 때의 수집목적은 ‘사용자 홈페이지 이용, 사이트 이용에 대한 문의 민원 등 고객 고충 처리’입니다.
③ 사무소는 ‘홈페이지 고객 문의/고충 처리 시 전화 또는 인터넷을 통한 상담’과 같은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합니다

제 2 조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관계법령의 규정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의무가 있는 경우가 아닌 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는 원칙적으로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목적이 달성될 때까지 보유 및 이용되며, 그 목적이 달성되면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제 3 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사무소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본 처리방침에서 명시한 목적에 한해서만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동의가 있는 경우 또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계법령의 규정에 의거한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사무소는 현재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제 4 조 (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사무소는 현재 귀하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귀하의 개인정보를 직접 취급 관리하고 있습니다. 단, 향후 보다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3의 전문기관에 귀하의 정보를 위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귀하의 사전 동의 하에 개인정보에 대한 취급을 위탁할 수 있습니다.

제 5 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① 정보주체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사무소에 대해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및 삭제, 처리정지 요구 등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② 제1항에 따른 권리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사람을 통해서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는 개인정보보호법 시행규칙에 따른 위임장을 사무소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③ 사무소는 정보주체의 권리행사에 대하여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제 6 조 (개인정보의 파기)
① 사무소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의 처리목적이 달성된 경우 등 그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 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사무소가 관계법령의 규정에 따라 개인정보를 파기하지 아니하고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 또는 개인정보파일을 다른 개인정보와 분리해서 저장·관리 합니다.
③ 사무소는 파기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여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④ 사무소는 파기하여야 할 개인정보가 전자적 파일 형태인 경우 복원이 불가능한 방법으로 영구 삭제하며, 이외의 기록물, 인쇄물, 서면, 그 밖의 기록매체인 경우 파쇄 또는 소각합니다.

제 7 조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아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또는 담당부서에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사무소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하여 신속하고 충분한 답변을 드릴 것입니다.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 문건일 변호사
연락처 : 02.6952.5877

제 8 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사무소의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관련 법령, 지침 및 사무소 내부규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개인정보 처리방침이 변경되는 경우 관련 법령이 정하는 방법에 따라 공개합니다.

제 9 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사무소는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구성원에 대한 정기적인 개인정보 보호교육 등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의 설치 등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 개인정보 보관장소에 대한 접근통제